청약주택 관련 용어를 알아보자! / 국민주택, 민영주택, 공공주택 등..
안녕하세요.
주택청약 용어 중 청약주택 관련 용어를 알려드릴 초토일입니다.
요즘 많은 분들이 청약주택을 하시는데 용어는 잘 모르시는분들이 계시기에 준비해보았습니다.
그럼 차근차근 관련용어를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.
청약주택 관련용어
-
국민주택
주택청약과 관련하여 주택의 종류는 국민주택과 민영주택으로 나뉩니다.
- 국가, 지자체, LH 및 지방공사가 건설하는 주거전용면적 85㎡이하(수도권, 도시지역이 아닌 읍,면은 100㎡ 이하)의 주택
- 국가나 지자체의 재정 또는 주택도시기금을 지원받아 건설, 개량하는 주거전용 면적 85㎡이하의 주택
-
민영주택
주택청약과 관련하여 주택의 종류는 국민주택과 민영주택으로 나뉩니다.
- 국민주택을 제외한 주택을 민영주택이라 합니다.
-
공공주택
공공주택은 공공주택 사업자가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이나 주택도시기금을 지원받아 건설 또는 매입하여 공급하는 다음에 해당하는 주택을 말합니다.
- 공공임대주택 : 임대 또는 임대 후 분양전환을 목적으로 공급하는 주택 (공공주택 특별법 시행령 제2조 제1호 가목참조)
- 공공분양주택 : 분양을 목적으로 공급하는 주택으로서 *국민주택규모 이하의 주택
*국민주택규모 : 주거전용면적 85㎡ 이하, 수도권 및 도시지역 외 읍면은 100㎡ 이하
- 국토교통부 장관은 다음의 자 중에서 공공주택사업의 사업자를 지정 : 국가 또는 지자체, 한국토지주택공사 및 지방공사, 공공기관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관 등
-
공공건설임대주택
공공건설임대주택은 공공주택 특별법에 따른 공공주택사업자가 직접 건설하여 공급하는 공공입대주택입니다.
- 공공주택은 공공임대주택과 공공분양주택으로 구분되고, 공공임대주택은 공공건설임대주택과 공공매입임대주택으로 구분됩니다. (공공주택 특별법 제2조)
- 85㎡ 초과 공공건설임대주택에 청약 시 2주택 이상을 소유한 자는 1순위 청약을 제한받습니다. (2순위로 청약)
-
도시형 생활주택
도시형 생활주택은 300세대 미만의 국민주택규모에 해당하는 주택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주택입니다.
- 도시형 생활주택, 오피스텔, 민간임대주택은 아파트 청약신청과 달리 별도의 청약통장 없이 청약신청할 수 있으며 재당첨 제한 등의 당첨자(입주자) 관리제도가 없습니다.
-
오피스텔
오피스텔은 업무를 주로 하며, 분양하거나 임대하는 구획 중 일부 구획에서 숙식을 할 수 있도록 한 건축물로서 국토교통부장관이 고시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합니다.
- 도시형 생활주택, 오피스텔, 민간임대주택은 아파트 청약신청과 달리 별도의 청약통장 없이 청약신청할 수 있으며 재당첨 제한 등의 당첨자(입주자) 관리제도가 없습니다.
-
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
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임대사업자가 8년 이상 임대할 목적으로 취득하여 임대하는 *민간임대주택입니다.
* 민간임대주택 : 임대 목적으로 제공하는 주택으로서 임대사업자가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(제5조)에 따라 등록한 주택. 민간건설임대 주택과 민간매입임대주택으로 구분. (동법 제2조제1호)
- 도시형 생활주택, 오피스텔, 민간임대주택은 아파트 청약신청과 달리 별도의 청약통장 없이 청약신청할 수 있으며 재당첨 제한 등의 당첨자(입주자) 관리제도가 없습니다.
이상 청약주택 관련 용어설명 드렸습니다.
감사합니다!
'금융 > 청약의모든것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주택청약 청약자격 중 부양가족 관련 용어 설명 / 부양가족이란? (0) | 2020.12.07 |
---|---|
주택청약 청약자격 용어에 대해 알아보자! / 청약자격 중 세대 관련 (0) | 2020.12.07 |
주택청약 용어를 알아보자! / 3탄 청약자격에 관련 용어(무주택세대구성원) (0) | 2020.12.03 |
주택청약 용어를 알아보자! / 2탄 청약통장 관련 용어 (0) | 2020.12.02 |